티스토리 뷰
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리학을 통해 인간 사회를 정확하게 이해하고자 하는 인문지리학. 복잡한 기호와 지도를 분석하는 것만이 아닌 구체적이고 흥미있는 사례를 중심으로 쉽고 재미있는 인문지리학에 대한 설명으로 세상을 인문지리학의 시선으로 바라볼 수 있게 도와준다.
지도를 읽는 지리학을 넘어
사람과 세상을 읽는 지리학으로
만약 우리를 둘러싼 공간이 사라진다면 우리는 어떻게 될까? 공간이 없는 인간의 삶을 상상할 수 있을까? 지리학에서 다루는 공간이라는 개념은 우리 삶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다. 인문지리학은 이 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리학을 통해 인간 사회를 정확하게 이해하고자 하는 학문이다. 복잡한 기호와 지도를 분석하는 것이 지리학이라는 편견은 이제 그만 버려도 좋다. 인문지리학의 시선 은 인문지리학을 쉽고 재미있게 소개하여 더 많은 사람들이 인문지리학의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볼 수 있게 도와준다.
개정2판 서문
개정판 서문
초판 서문
제1부 지리적 상상력의 확장
1장 개념에 담겨 있는 지리학의 사고방식 / 박승규
1. 지리학에 대한 선입견과 정설
1) 선입견의 배후
2) 인간의 삶과 밀접한 학문
2. 경계가 흐려지는 지리학의 영토
3. 희미해진 영토에서 지리학의 모습 찾기: 지리학의 개념
1) 위치와 장소
2) 장소와 공간
3) 장소, 공간, 그리고 지역
4) 지역과 경관
5) 시간과 스케일
2장 쟁점으로 읽어보는 지리학사 / 장의선
1. 고대와 중세의 지리학 전통
1) 지방지 전통 vs 수리천문학 전통
2) 고대 지리학의 집대성, 스트라보와 톨레미
3) 중세, 두 개의 지리학: T-O 지도 vs 이븐 바투타
2. 지리상 발견 이후 지리 지식의 체계화와 근대 지리학의 전개
1) 지리상 발견 시대의 바레니우스의 고민
2) 순수 지리학 운동
3) 과학으로서의 지리학: 훔볼트 vs 리터
4) 자연지리학 강의: 칸트가 말한 근대 지리학의 성립 논리
5) 종의 기원(1859)과 지리학 논쟁 : 환경결정론 vs 가능론
6) 헤트너의 지역론과 슐뤼터의 경관론: 장소적 종합 vs 가시적 경관
7) 코롤로지(chorology): 계속되는 칸트 식의 지리학 성립 논리
3. 현대 지리학의 쟁점과 경향
1) 하트숀의 지역지리학에 대한 쉐퍼의 도전: 전통지리학 vs 신지리학
2) 계량적 인문지리학의 등장 배경
3) 신지리학의 한계와 보완의 노력
4) 새로운 도전: 인간주의 지리학과 구조주의 지리학
5) 지식 생산의 본질과 지리사상사의 평가
3장 지리적 사상(事象)의 재현: 지도 / 장의선
1. 지도는 재현(representation)의 한 방식
1) 지도란 선택적 ‘재현’이다
2) 거짓말은 지도의 태생적 운명
3) 지도와 권력
2. 고지도 읽기
1) 어떤 종류의 고지도가 전해 오는가
2) 고지도를 읽기 위한 코드(codes)
3) 조선 시대의 세계지도에서 읽을 수 있는 조선 사람들의 세계관
3. 근대 지도의 등장에서 지리정보시스템(GIS)까지
1) 근대 지도란 어떤 것인가
2) 근대 지도로서의 대동여지도
3) 현대의 지도 언어들
4) 종이 지도를 넘어 디지털 지도까지: 수치 지도와 지리정보시스템(GIS)
영화로 읽는 지리 이야기 1 모노노케히메에 담긴 일본의 ‘종교와 신화’
제2부 장소와 경관의 이해
4장 인간과 자연환경: 이원론을 넘어서 / 전종한
1. 인간 삶터로서의 자연환경1
1) 인간 삶의 모태 ‘자연환경’
2) 생태론의 허점
2. 생태론을 넘어 풍토론으로
1) 풍토론에서 보는 인간과 자연의 관계
2) 세 가지 풍토형: 몬순, 사막, 목장
3. 자연환경을 보는 상반된 시선
1) 어머니로서의 자연관 vs 상품 가치로서의 자연관
2) 본질주의적 자연관 vs 구성주의적 자연관
3) 다양한 환경론이 난무하는 가운데 지리학자들의 입장은?
5장 풍수 사상의 두 전통 / 박승규
1. 터 잡기 예술인가, 지식 체계인가?
1) 풍수 사상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
2) ‘터 잡기 예술로서의 풍수’, ‘지식 체계로서의 풍수’
2. 누가 들여왔고, 어떻게 사용했는가?
1) 풍수의 기원과 전파
2) ‘어떤 사람’이 풍수를 알고 있었는가?
3) 풍수를 누가 ‘어떻게’ 사용했는가?
3. 잃어버린 전통을 찾아서
6장 촌락 지역의 해석 / 전종한
1. 촌락은 우리에게 어떤 의미인가?
1) 촌락이 갖는 의미
2) 사라져가는 우리나라의 촌락
3) 촌락의 개념은 문화권에 따라 다르다
2. 촌락의 입지와 형태
1) 촌락은 어떤 장소에서 잘 발생하는가?
2) 조선 시대 사대부들의 삶터 선정 기준: 지리, 생리, 인심, 산수
3) 촌락 가옥들의 모이고 흩어짐
4) 이국적 풍경의 촌락 형태: 태안반도의 산촌(散村)
3. 촌락의 공간 구성과 경관
1) 촌락의 공간 구성을 어떻게 들여다 볼 것인가?
2) 공간 구성이 독특한 세계의 주요 촌락
4. 우리나라 촌락의 근간: 종족 마을
1) 종족 마을의 주인공 ‘종족 집단’
2) 종족 마을은 언제, 어떤 배경에서 등장했는가?
3) 종족 마을의 공간 구성
4) 종족 마을의 경관이 내포한 의미와 전략
7장 한국 도시의 원형 ‘읍성’ 취락 / 전종한
1. 성곽의 나라 ‘조선’
1) 한반도에 얼마나 많은 읍성이 있었는가?
2) 인근의 산성으로부터 옮겨온 조선 초기 읍성
3) 읍성의 입지에 관여한 조건들
2. 읍성 안의 경관과 장소
1) ‘중앙 권력’을 상징하는 읍성 vs ‘멸시의 공간’으로서의 읍성
2) 읍성 안에 자리했던 경관과 장소들
3) 경관 배치의 기본 원리
4) 경관의 상징성과 경관 배치의 지역적 차이
3. 읍성은 언제, 어떻게 사라져갔는가?
1) 일제 강점기에 침입한 새로운 ‘사물의 질서’
2) 전통 경관의 소멸과 기능 변화
3) 일본인의 읍성 유입에 따른 공간 구조의 변형
4) 읍성 취락의 사회?공간적 재편과 근대화
8장 장소와 경관을 새롭게 읽기 / 전종한
1. ‘다름’을 찬미하는 포스트모더니즘
1) 우리 주변의 포스트모더니즘
2) 포스트모더니즘이 주목하는 ‘지역적 차이’
3) ‘후기 근대(post-Modernism)’인가, ‘탈근대(Post-modernism)’인가?
2. 경관과 장소의 해체적 읽기를 위하여
1) 해체하여 읽는다는 것
2) 사회.공간적 실천의 포착에 의한 권력 읽어내기
3) 텍스트로서의 경관과 장소
4) 경관과 장소를 해체적으로 읽기
3. 경관과 장소의 마케팅: 그 재현의 의미와 한계
1) 웰빙, 지방화, 자본주의의 합작품 ‘경관.장소 마케팅’
2) 경관.장소 마케팅의 유형
영화로 읽는 지리 이야기 2 파 앤드 어웨이에서 읽는 유럽인과 북미 인디언의 자연관
제3부 근대적 공간의 설명
9장 도시의 탄생과 진화 / 전종한
1. 도시란 무엇인가?
1) 어원적 음미: ‘도시(都市)’와 ‘시티(City)’와 ‘어반(Urban)’
2) 삶의 방식(a way of life)으로서의 도시
3) 도시화와 도시-촌락 연속체
2. 도시의 기원에서 세계도시까지
1) 도시의 기원과 확산
2) 고대와 중세, 그리고 ‘왕의 귀환’시기의 도시
3) 산업혁명과 도시화: 상인도, 절대 군주도 아닌 제조업인의 도시로
4) 도시의 외연 확대: 교외로 또 세계로
3. 한국의 도시 발달: 왕의 도읍지에서 자본주의 도시까지
1) 조선 전기 이전에 도시가 있었을까?
2) 조선 후기부터 광복 직후까지
3) 급격한 산업화, 급속한 도시 발달
10장 도시의 안과 밖 / 서민철
1. 도시의 다양한 얼굴
1) 세 가지 차원으로 보는 도시의 다양성
2) 도시화의 세 가지 차원
2. 도시 내부의 구조와 동학
1) 모자이크로서의 도시(urban mosaic)
2) 공간-경제적 힘과 도시 구조
3) 공간-사회적 힘과 도시 구조
4) 공간-정치적 힘과 도시 구조
3. 도시의 외부, 도시들 간의 관계
1) 점으로서의 도시
2) 도시들 간의 순위
3) 크리스탈러의 중심지 이론
4) 세계화와 세계도시 체계
11장 산업 활동과 지역의 형성 / 서민철
1. 산업의 입지와 지역
1) 경제지리학과 경제학
2) 시장 분포의 국지성
3) 문제는 지리
2. 공업의 입지와 지역 변화
1) 여러 가지 산업
2) 베버의 공업 입지 이론
3) 현대의 공업 입지 이론
3. 서비스업의 입지: 상업의 경우
1) 서비스업 입지의 특징
2) 문턱값과 도달거리
3) 상권 경쟁과 상업의 계층적 입지
4) 메밀꽃 필 무렵의 지리학: 정기시장의 해석
12장 지역 불균등과 공간적 정의 / 서민철
1. 공간적 정의(Spatial Justice)의 문제
1) 공간에도 정의가 있는가?
2) 지역격차 비판은 정당한가
2. 지역 불균등 발전에 관한 이론
1) 지역 불균등 발전론의 이론적 배경
2) 수렴론: 신고전 지역 성장론과 불균형 성장론
3) 비수렴론: 뮈르달, 프리드먼, 내생적 성장론
4) 비주류 이론들
3. 한국에서의 지역 불균등 논의
1) 추세 분석과 기제 추적
2) 압축적 산업화와 지역격차
3) 1980년대 이후 수도권 집중도 변화의 메커니즘
도판목록
표목록
찾아보기
- Total
- Today
- Yesterday
- 야성의 부름 / 화이트 팽
- [대여] 이야기의 숲에서 만난 신념의 길 50
- 내 친구 기리시마 동아리 그만둔대
- 생각 좀 하고 살아라
- 북촌의 사금파리
- The Tale of Despereaux
- 괴짜 탐정의 사건 노트 14
- 분이네 살구나무
- [슈퍼특가] 인피니트 라이브 DVD : 그해 여름 2 스페셜
- 소년탐정 김전일 season2 1
- 북한 현대사 산책 1-5 세트
- 샤갈이 그림으로 말하다 message from Chagall
- 사소한 정의
- 여행을 떠나다
- 이솝우화전집
- 편안한 죽음을 맞으려면 의사를 멀리하라
- 구경하는 들러리양 4 (완결)
- 어느 게으름뱅이의 책읽기
- 피튜니아
- 길에서 만난 나무늘보
- 굿나잇 성경
- 핵심 중남미 100배 즐기기
- 1960년을 묻다
- 상처입은 가족을 위한 심리학
- 타라 덩컨 6 (상)
- 야호! 01
- 방송애창 창작동요 123곡 2
- 이즈모 특급 살인
- 난 당신이 좋아
- [합본] 아라벨의 왕녀 - 제로노블 003 (전2권/완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